Script (English)
My name is Kil Joo Lee. I am the Korean Resource Center's founding board member. After graduating college, I met my husband, who was a citizen and came to the U.S. in 1971.
Originally I wanted to become a singer, but between getting married, having children and carrying the family forward, I didn't have the time to do that.
When the baby was 8 years old, I started singing at the church choir. There was a Christian TV station that was just getting started back then: it was called "The Word of Life".
My pastor introduced me to the TV station and I started singing and participating in society. At church, I met various activists with whom we came to found the Korean Resource Center. I started singing for various forums and activities.
In a sense, I was fulfilling my dream of becoming a singer by getting involved with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In the 80's it was still the early period of Korean immigration. Everyone worked until late, and many families did not have the means to have a babyseater or send their children to after school programs.
Children were given their apartment keys, which they hung on their necks, and most children stayed alone in their homes after school.
So we figured children needed to have things to work on after school. For these children to become respectable citizens, they needed to know their roots. We should teach them their Korean roots, and the true history of our country, so they would pride themselves in their roots to become active citizens. That's why we founded the Korean Resource Center in 1983.
My dream is to see the Korean Resource Center grow into a more helpful organization.
대사 (한글)
저는 이길주라고 합니다. 저는 민족학교의 설립 이사입니다 저는 70년대 초에 서울 음대 성악과 졸업을 하고 여기에 미국에 시민권자인 남편을 만나서 미국에 와서 결혼을 했어요.
제가 처음에 미국에 온 꿈은 성악 공부를 해서 훌륭한 성악가가 되서 좋은 일을 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을 했는데 결혼해서 아이를 금방 갖고 미국에 와서 생활을 하다 보니까 그런 꿈을 이루지 못했어요.
아기가 7-8살 됬을 때 작은 교회에 나가기 시작하기 했기 때문에 거기 성가대에서 제가 활동을 했어요. 그래서 그때부터 노래를 다시 시작을 했는데 그때 마침 LA에서 처음으로 기독교 테레비전 방송이 시작이 되서, 그때 제가 나가던 조그마한 한국 교회 목사님의 소개로 생명의 말씀사를 운영하고 계시던 목사님의 소개를 받아서 제가 다시 연주 활동을 시작했고 사회 생활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교회에 나가서 성가대에서 성가대 지휘자를 하면서 그 때 알게 되었던 분들과 함께 그때 알았던 분들과 민족학교를 설립하게 되었구요 그때부터 여러가지 모임에 참석해서 노래를 부르게 되었습니다.
제가 세계적인 성악가가 되서 어떤 일 을 해보겠다는 미국에 이민 온 꿈이 자그만치라도 민족과 동포사회를 위해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그런 역할이 시작이 되었습니다.
그 때만 해도 이민 초기였어요. 모두 하루종일 일을 하기 때문에 집에 베이비 시터라든지 방과 후에 애프터 스쿨에 아이를 보내지 못하는 형편의 가정이 많았어요. 아이들이 아파트 키를 목에 달고 다니면서 집에 혼자 있었어요.
그래서 이런 분들이 모여서 아이를 위해서 공부가 끝나고 할 일이 있어야 되겠고 또 그런 지도를 해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고 또 이 아이가 커서 미국의 시민이 되려면 우리의 뿌리를 알아야 하겠다. 그래서 한국의 뿌리를 가르쳐주고 바른 역사를 알게 해서 자신을 갖고 시민이 될 수 있는 그러한 것이 굉장히 필요한 때다 라고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민족학교를 설립을 했습니다. 83년이었죠.
그리고 민족학교가 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단체로 자라나는 것이 제 이민 꿈입니다.